![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eyltN%2FbtsJniIY4QP%2F3GqUfKZ4Pn1DX2sMz5unD0%2Fimg.png)
PoE (Power over Ethernet)#이더넷으로 전원을 같이 실어서 보내는 방식 (전원 공사할 필요가 없다)#(구, Inline Power) IEEE 802.3af 표준 (PoE 표준)PoE : 15.4wPoE+ : 30wUPoE : 60wPoE 스위치데이터 전송과 전원을 함께 이더넷으로 실어 보낼 수 있도록 PoE 기능을 지원하는 스위치데이터와 -48V의 DC전원을 같이 공급전원 포트를 따로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PoE 스위치는 연결된 장비에 따라서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는지 판단한다.장비 손상 위험 Xex) 무선 AP, IP 전화기, IP 카메라 등MGIG (Multiple GIGa bps)Cisco가 지원하는 Multi-Gigabit 포트스위치와 AP가 MGIG를 지원하면 케이블 교체 없이..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PPJ5%2FbtsJkFrh25L%2FSzsfqKm6ZR1kmD8i7Auua1%2Fimg.png)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HDLC는 표준 프로토콜이다.But,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하나밖에 안된다.CISCO 라우터의 시리얼 라인에서 디폴트로 사용하는 HDLC는 표준 HDLC가 아니다. 자체 CISCO HDLC이다.즉, 타사 라우터(표준 HDLC)와 CISCO 라우터(CISCO HDLC)를 HDLC로 연결하면 안된다.CISCO HDLC는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HDLC는 주로 시리얼 라인에서 사용한다.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통합해서 Encapsulation(캡슐화)하는 기능과 다양한 보안 기능이 있는 PPP가 HDLC보다 효과적이다.HDLC 설정법Router(config)# interface serial1/0Router(config-if)# encap..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KuqZH%2FbtsFlU1nnk3%2FuMfT2wLlm4Gkx0UHnDkoXK%2Fimg.png)
HSRP (Hot Standby Routing Protocol) #시스코 라우터만 호환가능 # 메인 라우터가 고장나면 백업 라우터가 대신하는 기능 Q. 라우터를 이중화해서 구성하면 한 대에 장애가 나도 통신이 될까? A. NO! PC(Host)들은 Default Gateway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Default Gateway는 라우터 A이다. PC는 라우터A로부터 통신을 하고 있었는데, 라우터 A가 죽어버렸다고 라우터 B와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이 상황에서 Default Gateway를 라우터 B로 바꾸면 해결되긴 한다. 즉, 수동적으로 바꿔줘야 한다는 뜻! (지알아서 안바뀐다고..) HSRP의 특징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라우터 IP주소를 Default Gateway로 세팅한 다음,..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kgAa%2FbtsyTyiwPXG%2Fj9QHcAbQj8KgWVuyEsuLL1%2Fimg.png)
IGRP - Cisco 전용 프로토콜 - Distance-Vector Algorithm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RIP과 EIGRP 등이 있다.) IGRP의 특징 ① 내부용(IGP) Dynamic Routing Protocol이며 Distance-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②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주기 : 90초 ③ Default Hop Count : 100 (최대 255까지 확장 가능) ④ VLSM(Variable Length Subnet Network)를 지원하지 않는다. - ex) 포트에 150.150.100.1 255.255.255.0을 주고 EIGRP 설정에서 network 150.150.100.0을 해도 실제로는 150.150.0.0이 들어간 것을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8EIie%2Fbtso08zlo53%2F7npFUTh39kvROtw78FmnV0%2Fimg.png)
CDP (Cisco Discovery Protocol) 시스코 장비와 직접 연결된 시스코 장비를 찾아낸다.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멀티캐스트 라우터 A 기준 C, B, 스위치를 CDP로 발견 (시스코 장비이고 직접 연결됨) E는 타사 장비, D는 직접 연결되지 않음 CDP 특징 DataLink(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멀티캐스트 상위 네트워크 계층(TCP/IP, IPX, AppleTalk 등)의 프로토콜 상관없이 실행 가능) CDP 정보 ① 장비의 이름과 같은 확인 정보 ② IP주소와 같은 주소 정보 ③ 접속 포트에 대한 정보 ④ 접속 장비의 기능에 대한 정보 ⑤ 접속 장비의 하드웨어 사양 CDP 관련 명령어 Router_A# show cdp Global CDP information: Sending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wKWp%2FbtslOCjdHHT%2FLS6vgY9HnGKZLqk2hFOCU0%2Fimg.png)
라우터 (Router) OSI 7 계층 중 3계층에 속한 장비로,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효율적이고 가장 빠른 길 (최단 경로)을 배정한다. 기능 ① Path Determination (경로 결정)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적절한가? ② Switching (스위칭) 결정된 경로로 패킷을 스위칭 해준다. ③ Routing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최단 경로를 탐색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한다. 라우터의 분류 ① 일체형 ② 모듈형 (샤시형) : 필요할 때 마다 모듈을 써서 증설 가능. 인터페이스 번호를 쓰는 규칙 : 슬록 번호 / 유닛 번호 ex) FastEthernet 0/0 → 0슬롯/0유닛, Serial 2/1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nMzj%2FbtslwqRlbIR%2FZ3DTFLMkfTZuSrepWFk8Lk%2Fimg.png)
Cisco Catalyst Switch OS CatOS : 옛날 IOS : Cisco가 스위치 회사를 인수 합병하여 현재는 CISCO IOS를 사용 (라우터와 명령어가 같음) 기본(Default) 구성 아무것도 구성하지 않은 스위치의 구성 상태 Switch# show interface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 Fa0/1 Not Connect 1 Auto Auto 100Base TX/RX Fa0/2 Not Connect 1 Auto Auto 100Base TX/RX ... Fa0/12 Not Connect 1 Aut..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YnrT3%2Fbtslueqbcf3%2FquYHcFr4m5EqUijKKk2F51%2Fimg.png)
군대에서 할 것 없을 때 공부했던 네트워크 기초를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하여 포스팅할 예정이다. 2019-11-30 ~ 2020-11-20 간 시간 날 때 마다 공부한 내용이고 네트워크 기초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았을 유명한 책인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으로 공부했다. 포스팅을 하면서 배웠던 내용들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