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이 OSI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기본적으로 베이스로 두고 들어가는 아주 중요한 약속입니다~ 이 약속들이 계층마다 다른 역할을 수행 해주기 때문에 이들이 하나라도 빠지면 통신이 안될만큼 아주 중요하죠! 이 약속은 국제표준기관(ISO)에서 개방형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OSI 7 Layer를 만들었습니다.뭔가 ISO에서 OSI를 만들었다 (ㅋㅋㅋ) 라는게 외우기 좋지 않나요? 외우는거 보다 느낌적으로~이렇게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계층 순으로 되는데 아래와 같이 분업화 되어 있습니다.7계층 - Application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응용 프로그램6계층 - Presen..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 요일 입니다.~~ 모레 바로~~~ 설날인데요? 여러분 준비 잘 되고 계신가요?친척들도 많이 만나고, 맛있는 음식들도 많이 드실 수 있져~올해 일이 모두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ㅎ"라우팅 프로토콜 정리~" 우린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을 알아봤습니다. 그렇죠? 보면 수동으로 주는 static routing과 살짝 중간(?)인 default routing,자동으로 주는 RIP(v1,v2), EIGRP, OSPF 등 이 있다 했죠~~이번에는 종합적으로 한번 정리하고 갑시다~이 문제를 한번 풀어 보시죠~ 이게 마지막 정리라고 할 수 있겠져?한번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힌트라 함은 이웃 라우터 끼리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동작이 되지만 서로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다 보니 외곽지역에..
"파일 및 폴더 생성하기"우리는 일단 해당 디렉터리안에 내가 원하는 파일이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원하는 경로로 가야하는데 이때, 필요한 명령어가 바로'pwd'라는 명령어 입니다. 현재위치를 알려주는 명령어죠. pwd는 현재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보여줍니다.그리고 'ls'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토리의 명령어를 보실 수 있습니다.윈도우 cmd에서 dir이라는 명령어와 비슷하게 역할을 합니다.-a, --all : .을 포함한 경로안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표시-l, --format=long : 지정한 디렉토리의 내용을 자세히 출력-d, --directory : 지정된 디렉토리의 정보 출력-n, --numeric :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출력시 UID, GID를 사용-F, --clas..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화요일! 시간이 참 빨리 가는 것 같지만 막상 하루는 깁니다. 하지만, 즐거운 하루라면 엄청나게 그 하루 마저도 빨리 느껴지죠..곧 설입니다! 이 설만은 즐겁게 화목하게 보내도록 합시다~ "OSPF 추가적인 이론."제가 실력이 딸리고, 저도 배우는 입장이기 때문에 이 글을 쓰면서 저도 여러가지를 참고하고 보고 공부합니다. 그러니 저의 실력이 딸릴 수 밖에 없죠.. ㅠㅠ 하지만 저는 열심히 할껍니다! OSPF에서 알아 둬야할 중요한 것! 1. Hello interval (Dead 주기는 Hello 주기의 4배라는 것!) 앞전 시간에 했었죠?2. DR, BDR 선출 여부 3. Neighbor를 맺는 방법 (수동, 자동) * Hello 주기 Broadcast가 가능한 환경 10초Broad..
"실습 EIGRP" 우리 전에 EIGRP에 대해 봤었죠? 얘는 최적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라우팅을 맺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알고리즘을 Diffusing Update Algorithm 즉, DUAL알고리즘이라고 하죠. 이 최적경로를 계산하는 방법은 목적지까지 가는 최저의 대역폭과 목적지 까지의 지연시간의 합을 이용합니다. 전에 이건 제가 알려드리지 않았죠. FD(Feasible distance) :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Metric값의 합. AD(Advertised distance) : 출발지 다음 Router부터 목적지까지의 Metric값의 합. Successor : EIGRP환경에서 목적지로 가기 위한 최적경로 Feasible successor : 목적지로 가기 위한 대체 경로 1. Succe..
"리눅스의 부팅과정"이번 시간에는 리눅스의 부팅과정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우선 파워를 넣죠?파워를 넣으면 이제 켜지겠죠?그러면 bios에 진입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start-up'루틴 이라고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그 후에 부트섹터에 들어서게 되는데 이 부트섹터에서 부트로더인 grub에 진입하게 되는데grub는 LILO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최신 커널들은 대부분 이 grub를 사용합니다.LILO는 리눅스 표준 부트로더입니다.그 후 swapper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여기서 죽어있던 프로세스를 깨우게 합니다.그럼 프로세스들이 동작을 하겠죠? 우리가 실제 사용하게될 지정된 응용프로그램과 기본 응용프로그램들의 프로세스들을 시작 하게 합니다.이 후 init를 실행하는데, 이 init는 쉽..
안녕하세요~ 오늘은 월요일이네요.. 저와 같은 학생 분들은 뭐 바쁘게 지내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월요일' 이라는 단어가 학교에 가지 않는 동안에는 뭐 별로 느껴지는게 없을거에요~ 하지만 직장인들이나 일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힘드실거에요.. 힘내세요! 그 지겨운일 나중에 저도 겪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겪게 되는 일이죠... 오늘은 우리가 돌리는 가상 리눅스를 직접 만지지 않고 원격으로 만져 보겠습니다.그 다음 중요한 비밀번호 설정! 비밀번호를 잃어벼렸을 수도 있으니 그에 따른 대처법도 한번 알아봐요! "리눅스 'Putty'로 원격 접속 하기!" and singleboot 우리는 원격으로 한번 만져 볼겁니다. "왜? 굳이 원격으로 하나요? 그냥 데스크톱처럼 만지지.."! 그 이..
"리눅스 VMware Tools 설치하기" 리눅스를 전에 설치 하셨죠? 설치를 하시게 되면 VMware하단에 툴을 설치하라고 뜨거나 뭐~라고 할꺼에요.만약 안뜬다면 VM메뉴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진행해주세요.vmware 메뉴에서 VM-VMware Tools Installation 을 누르게 되면 centos 바탕화면에 VMware Tools 라는 시디 모양이 나타나게 됩니다!여튼~ 누르면 아래처럼 시디모양도 뜨고 시디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폴더에툴들이 들어 있답니다. 자! 진행 하셨나요? 이까지 따라 오시는건 간단하죠?이제부터 시작 이랍니다.위 사진처럼 터미널을 띄워서 입력해줍시다. 터미널 띄우는 방법은 그냥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Terminal인가? 누르면 열립니다.여기서 잠깐! 'cp' ..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요일이네요~ 원래 같으면 내일 학교 가는 날 인데.. 안가니까 ㅋㅋ 별로 그런거 못 느끼겠네요.한편으로 이런 기분이 낯설기도~일단 저는 그냥 기분도 안좋고(글쓰던거 또 날라갔네요 ㅠ) 그냥 공부나 해야겠습니다. ㅋㅋ "RIP 실습해보기~"앞에서 배웠던 RIP을 실습해봅시다.~ 저는 이론보다는 실습이 더 재밌더라구요~ 사실 이론을 저는 대부분 기억이 안나요 ㅋㅋㅋㅋ그래도 IT쪽에 관심이 있다보니 재미를 붙이게 되었습니다... (왜? 갑자기..) 한번 해봅시다. 음.. 앞에서 배웠던 간단한 RIP명령어 부터 볼게요~일단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 'route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시면 되죠? 그리고 'version 1~2'를 사용해 버전을 선택..
와~ 여러분 마지막 동적 라우팅 개념 설명 시간입니다~방금 제가 30분 동안 쓰던 OSPF글이 순식간에 'Internet Explorer 가 응답이 없습니다.'에 의해 날아 갔습니다.~~(와!!~~) ㅋㅋ 티스토리의 임시저장마저 저를 배신하고...이런 멍멍이 같은 경우가 다 있나여.. 그래도 다시한번 써봅니다... 크롬으로..가운데 정렬로 써봅니다.9) 네트워크의 기본 9. 자! 여러분 앞에서 RIP, EIGRP를 잘 공부 하고 오셨나요?간단히 말하자면 OSPF는 규모가 크고 성장하는 Network를 위해 고안되었습니다.사실 RIP은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당하고, 대규모를 위한 EIGRP는 시스코 장비만 사용할 수 있으니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 된게 바로 OSPF입니다.OSPF(Open Shor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