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 예시
Router# show ip route
codes: I - IGRP derived, R - RIP derived, O - OSPF derived
C - Connected, S - Static, E - EGP derived, B - BGP derived
i - IS-IS derived, D - EIGRP derived
* - Candidate default route, IA - OSPF inter area route
E1 - OSPF external type1 route, E2 - OSPF external type2 route
L1 - IS-IS level-1 route, L2 - IS-IS level-2 route
EX - EIGRP external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I 144.253.0.0 [100/1300] via 133.3.32.2, 0:00:22, Ethernet1
131.108.0.0 is subnetted (mask is 255.255.255.0), 3 subnets
I 131.108.33.0 [100/18077] 퍔 131.108.16.2, 0:01:29, Ethernet1
C 131.108.12.0 is directly Connected, Ethernet0
C 131.108.16.0 is directly Connected, Ethernet1
I 218.100.103.0 [100/1200] via 133.3.32.2, 0:00:22, Ethernet1
라우팅 테이블 코드
Code | Context |
I | IGRP derived |
R | RIP derived |
O | OSPF derived |
C | Connected |
S | Static |
E | EGP derived |
B | BGP derived |
i | IS-IS derived |
D | EIGRP derived |
* | Candidate default route |
IA | OSPF inter area route |
E1 | OSPF external type1 route |
E2 | OSPF external type2 route |
L1 | IS-IS level-1 route |
L2 | IS-IS level-2 route |
EX | EIGRP external route |
라우팅 테이블 특징
- 라우팅 테이블은 RAM에 올라가기 때문에 파워가 꺼지면 지워져 버린다.
- 단, 다시 켜면 수 초 ~ 수 분만에 만들어 진다.
- TCP/IP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 : show ip route
- IPX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 : show ipx route
AS (Autonomous System)
-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터들의 집단.
- 하나의 규정 아래에서 운용되는 라우터의 집단
- 한 회사나 기업, 단체의 라우터 집단
- 즉, 네트워크. AS안의 라우터는 AS 내부 네트워크 정보만 알고 있다.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 '문지기 라우터'라고도 한다.
- 외부 망과 연결되어 있어서 외부 망의 정보와 내부 망의 정보를 모두 가진다.
- AS 내부의 라우터들은 ASBR을 통해 외부 AS와 통신할 수 있다.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IRP (Interior Routing Protocol)
- AS 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ex) RIP, IGRP, EIGRP, OSPF 등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ERP (Exterior Routing Protocol)
- AS 외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ex) EGP, BGP 등
결론
- AS 안의 라우터는 AS 내부의 정보만 알고 있고, ASBR 라우터는 내부 AS의 인접한 라우터의 정보와 외부 AS의 인접한 라우터 정보를 알고 있다.
-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알 필요가 없고, 자신이 속한 AS 정보만 가지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