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etime's TimeLine
article thumbnail
반응형

"리눅스 VMware Tools 설치하기"

리눅스를 전에 설치 하셨죠?

설치를 하시게 되면 VMware하단에 툴을 설치하라고 뜨거나 뭐~라고 할꺼에요.

만약 안뜬다면 VM메뉴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진행해주세요.

vmware 메뉴에서 VM-VMware Tools Installation 을 누르게 되면 centos 바탕화면에 VMware 

Tools 라는 시디 모양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튼~ 누르면 아래처럼 시디모양도 뜨고 시디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폴더에

툴들이 들어 있답니다.


자! 진행 하셨나요? 이까지 따라 오시는건 간단하죠?

이제부터 시작 이랍니다.

위 사진처럼 터미널을 띄워서 입력해줍시다.

터미널 띄우는 방법은 그냥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Terminal인가? 누르면 열립니다.

여기서 잠깐! 'cp' 명령어는 복사 하여 어디~에 붙여넣겠다는 의미 입니다.

명령어 하나 배웠다 그죠? ㅋㅋ

우리가 복사하여 넣은 폴더의 내부를 봅시다.

보시면 저기 빨간 알집파일이 보이시나요? 저것이 바로 툴입니다!

아참! 이툴을 왜 설치 하냐구요? 바로 이게 VMware와 나의 컴퓨터를 호환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화면 크기에 맞게 커진다거나 뭐 그런거죠! 직접 겪어보는게 최고!

이제 압축을 풀어줍시다.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주세요.

tar 라는게 알집이랑 비슷한 역할을 해주구요 xvzf는 tar라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옵션인데요.

x는  묶인 파일을 풀어줍니다.

v는 파일이 묶이거나 풀릴때의 과정을 보여 줍니다.

z는 tar + gzip의 압축확장자를 지원합니다.

f는 묶음 파일명을 지정해줍니다.

이렇게 여러 옵션들을 조합하여 사용 할 수도 있는겁니다.~


마지막! 설치를 하도록 합시다.

자! 우리가 풀었던 tmp폴더로 가줍시다. cd라는 명령어를 통하여 갑시다. 

'cd /tmp '라고 쳐주시면 될 겁니다.

그럼 저기 풀린 파일들 보이시죠?

다음에' cd vmware-tools-distrib/' 이 명령어를 쳐서 들어갑시다.

그 후 './vmware-install.pl' 명령어를 쳐서 설치를 해주면 끝! 

파일명을 입력하실때 힘드시져? 그때는 간단히 TAB키를 눌러주시면 알아서 자동키워드를 입력해 줍니다.

이제 당신이 원하는 vmware크기를 줄이던 늘리던 화면에 맞게 알아서 맞춰 질겁니다!


"리눅스의 기초" 

우리는 앞으로 기본적으로 명령어를 쭉 배우게 될겁니다. 

기초이니까요!

우선 제일 중요한 리눅스의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대 * 소 문자를 구별한다! (조심 하십시다!)

최초 확장자 지정이 따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확장자 즉, .txt .zip .tar .html과 같은 확장자가 파일을 생성 했을때 바로 주어지지 않아 본인이 지어 줘야 합니다.)

이 두가지가 가장 기본적인 특징입니다. 알아 두고 넘어 갑시다.


<디렉토리 바로잡기!>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가 가장 중요하게 존재합니다.

"디렉토리가 머죠?" 그냥 폴더요 ㅋㅋ 폴더입니다. 정보 저장소이죠? 우리의 정보들을 담아두는...

그러니까 TUI환경(Text User Interface)에서는 디렉토리로 존재하고, 

GUI환경(Graphic User Interface)에서는 

우리가 클릭을 할 수 있는 폴더로 존재 하는겁니다.

기본적인 디렉토리들을 소개 해드리죠.

1. 모든 디렉토리들의 대장! 바로 ROOT(루트, /) 입니다.

'/' 라고 합니다. 이 루트는 '최상위'라고도 부릅니다.

왜냐? 얘가 제일 크거든요. 나머지는 다 이 최상위 폴더에 종속된 것 들입니다.

윈도우에서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뭐 이런 가장 큰 단위로 알아 두시면 될 듯 싶습니다.

최상위 디렉토리! 알아 둡시다.

2. /boot 디렉터리는 일단 최상위 폴더에 종속된 폴더입니다. 앞에 '/'가 붙은거 보이시져?

얘는 말그대로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을 저장해두는 곳! 

하나 알아가자면 우리가 리눅스를 부팅할때 뭐 앞에 '부트로더'라는게 뜨는데 얘도 버전이 있어요.

LILO     ->     GRUB

이렇게 부트로더가 진화(?) 했답니다. 최신커널은 대부분 GRUB을 쓸겁니다.


3. /bin 폴더와 /sbin 폴더는 둘다 명령어 저장소 입니다. 

"뭐가 다른가요?" 

bin폴더는 기본 명령어!를 저장 해둔 곳!

sbin 디렉토리는 시스템 명령어를 저장해두는 곳입니다. 뭔가 s가 system일 것 같지 않나요? 


4. /home 디렉터리는 홈디렉토리 집합소! 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무슨 소리냐? 우리가 리눅스 계정을 만들고 그 계정으로 들어가면 자신의 데스크톱 폴더가 있는 홈 폴더입니다.

즉, 계정 전용 공간  이고,  계정의 접속 위치 입니다.

그러니까 제가 만약 limetime이라는 계정을 만들었다 치면 /home/limetime 이라는 폴더가 생기는 겁니다.

'/home/(사용자 계정)' 이렇게 되는거죠~'

단! root(관리자) 계정은 '/root' 라는 디렉토리가 홈 폴더라는 점! 기억 합시다.

윈도우로 따져 본다면 administrator, admin이지만 리눅스에서는 'root'가 관리자 입니다.


5. /etc 디렉터리는 서버 및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소 입니다.

흔히 '데몬(Daemon)'을 돌리는데, 이 데몬이 서버 유지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예를 들어 음.. FTP라든가 DNS 뭐 HTTP 이런거 ~~ 나중에 더 알아봅시다!

반드시 알아야 할 거! /bin 디렉터리는 binary 명령어, /etc 디렉터리는  설정 파일!


6. /dev 디렉터리는 장치를 연결 해주는 중요한 항구?, 공항? 같은 개념입니다. 

이 녀석은 Device가 떠오르는 디렉터리이구요. USB 같은거나 CD를 넣었을때 인식하여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중요 중요~!


7. /lib 디렉터리는 각종 언어 관련 및 알고리즘 해석 파일 저장소 입니다.

라이브러리가 떠오르는 디렉터리이구요.  ~.dll 파일같은걸 지원 해 줍니다.

dll은 Dynamic Link Library 입니다. 얘가 파일들을 연결해줍니다.


8. /mnt 디렉터리는 장치연결소 입니다. 아까 dev가 항구라면 mnt는 둘을 연결해주는 연결삭? 연결선 같은 겁니다. (뭐 사다리도 될 수 있고 다리도 될 수 있죠.)

이 경우 만약 USB를 꼽거나 CD를 꼽게되면 인식을 하여 연결해서 해당 장치속 폴더를 열람할 수 있게 됩니다. 아주 중요한 놈이죠.

알아야 할게 있습니다.

GUI환경은 우리가 마우스로 드래그 하고 클릭 할 수 있는 그래픽 환경입니다.

이 GUI에서는 이 연결이 pnp(plug and play) 라 해서 자동으로 장치를 연결 해주지만

GUI는 무겁기 때문에 기술자들은 대부분 TUI 환경을 사용합니다. TUI는 그냥 글자밖에 없는 화면입니다. 텍스트 환경이죠. 이 경우에는 수동으로 장치를 연결 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Mount(마운트)' 라고 합니다!!

마운트도 나중에 해볼겁니다!


9. /media 디렉터리는 기본저장장소로써 'local장치 연결 장소' 라고 합니다.

간단히 윈도우에서 Download 폴더라고 보면 됩니다.


10. /usr 디렉터리는 응용프로그램 저장소입니다.

이 /usr 폴더는 사람들이 user라고 생각하고 홈 폴더로 착각 하기 쉬운데 그러면 안되요!!

이 디렉터리에는 일반 프로그램 저장소인 /usr/local 디렉터리가 있고,

설정 프로그램 저장소인 /usr/bin 디렉터리가 존재합니다.


11. /proc 디렉터리는 프로그램의 동작정보를 보여줍니다.

process를 볼 수 있는거!


12. /tmp 디렉터리는 임시파일 저장소 입니다. 


13. /var 디렉터리는 자주변경되는 파일을 모아둔 저장소 입니다.

베리어블(?) ㅋㅋㅋ 특히, Update 정보파일과 시스템 메시지, log파일을 저장 해두죠.


14. swap! 이 스왑은 메모리공간을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원을 빌려 사용하는 녀석입니다.

왜 그런가 하면 원래 메모리공간은 RAM이라는 휘발성 저장장치를 사용하는데 이 장치의 공간이 부족함을 대비하기 위해 좀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원을 빌려 가상으로 RAM의 자원처럼 쓰는 기술 입니다.



"리눅스 Prompt 구조."

구분자 

의미 

root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명 

localhost 

리눅스 시스템의 호스트명

(/etc/sysconfig/network) 

~` 

현재 작업 디렉토리 위치 

관리자 계정(#), 일반 계정($) 

'[root@localhost ~] #' 이 있으면 자 떼서 하나씩 봅시다.

root 는 계정입니다. @localhost 는 네트워크 명 입니다. ~은 작업 디렉토리입니다. #은 권한 입니다.

마지막으로 문제를 내드리죠. 

Q1. 다음 프롬포트의 구역을 나눠봅시다. ( 힌트 : 4개 )





반응형
profile

Limetime's TimeLine

@Limetime

포스팅이 좋았다면 "공감❤️"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