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etime's TimeLine
article thumbnail
반응형

Windows Defender 끄기!

with.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끄기~"

평창 올림픽이 끝나고

이제 개강은 다가오네요 ㅠ


오늘도 여러분의 문제를 해결해드립니다.


Creative Cloud 제품을

크랙하시는데 많은 문제가

발생한 것을 저는 알고있습니다.

(많은 문제가 있는데...

모두 해결 못하는 점 죄송해요 ㅠ)




그 중 Windows Defender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들도 있는데요?

자꾸 디펜더가 왠만한건 다 필터링해서

설치 혹은 다운로드조차 못하게

막아서 그렇습니다.


또, 최근 Windows 10 업데이트를

통해서 버벅임 현상이 일어났는데...

주 범이 바로 Windows Defender

때문이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원인은 바로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라는 프로세스가 자신을 포함한

여러 프로그램을 실시간 검사해서

CPU 점유율이 높아져 렉을

일으킨다고 하네요. ㅎ


이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봅시다.


우선 우리는 Windows Defender를

끌 것입니다.


사실 Defender는 윈도우 설치 후

자동으로 제공되는데

저 같은 경우 토렌트를 사용하는데도

백신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사전 차단을 통해

굳이 백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죠.

(프로세스 관리만 잘해도...)


Windows Defender를 아예

뿌리까지 자를 생각으로 제거를

원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저는 복잡한 길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그냥 기능을 끄기만 해도 됩니다!

(500MB쯤 차지하긴 하지만...)


Windows Defender 기능을 꺼보자!

Ctrl+Alt+Del키를 눌러서

작업 관리자를 열어주세요.


프로세스 창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보시면 많지는 않지만

0.6%의 CPU를 점유하면서

실시간 검사를 진행하고 있네요.


해당 프로세스인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을

작업 끝내기 해보시면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라고 뜰겁니다..


그러므로 이 백신을 꺼보도록 하죠


윈도우 키 + R키 을 눌러주세요.

windows key + R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좌측 하단 작업표시줄에 돋보기 모양)


gpedit.msc를 입력해줍니다.


*gpedit.msc의 경우

윈도우7 Professional과

윈도우10 Pro 이상 버전에서만

지원되니 참고바라며..


걱정마세요!

이하 버전에서도

설치를 통해 사용가능하니까요!


이렇게 gpedit.msc를 입력하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열립니다.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여기에서 오른쪽 편에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함'을

더블 클릭 해주세요!


위 처럼 뜰겁니다.

사용 (E)를 선택해주세요!!

그 후 적용을 누르고 확인을 눌르세요~


모두 끝냈습니다.


작업관리자를 열어서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프로세스를 찾으려 해봐도 보이질 않으며

아이콘도 초록색 V를 띄던 것이

붉은색 X를 띄네요!


오예!

해냈습니다.


완벽하기 위해서는

재부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여러분은 이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
profile

Limetime's TimeLine

@Limetime

포스팅이 좋았다면 "공감❤️"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