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진짜 크리스마스 얼마 안남았네요.;
교회나 가야지.. 여러분 크리스마스인데 집에만 있지마요...ㅠㅜ
"서로 다른 네트워크"
이번에 다뤄볼 내용의 주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입니다.
자, 집에 여러 네트워크 장비들이 있습니다. (돈이 없으니, 상상...)
자 집에 널부러져있는 장비들을 보니, 막 조립하고 싶어 졌습니다. (ㅎㅎ....)
저번 시간에 배웠듯이 PC와 허브를 다이렉트로, 허브와 스위치를 크로스오버로 연결 했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봐주세요.
자! 우리가 배웠던 장비들과 선들입니다.
뭐 대충 연결하는건 아시겠죠? 자, 이 장비들로는 서로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불가 합니다.
왜? OSI7계층(OSI 7 LAYER)을 보십시다.
OSI7계층은 ISO에서 만든 표준 계층입니다.
7. Application Layer : 어플리케이션(응용) 계층 |
6. Presentation Layer : 프레젠테이션(표현) 계층 |
5. Session Layer : 세션 계층 |
4. Transport Layer : 트랜스포트(전송) 계층 |
3.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
2. Datalink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 |
1. Physical Layer : 피지컬(물리) 계층 |
이렇게 자리 잡습니다.
기본적인 우리 MAC주소 있죠? 물리계층에서 사용됩니다.
모든 장비들은 이 물리적입니다. 이 장비들을 연결 하기 위해서는 선이 필요하고, 서로 통신할 물리적주소. MAC주소로 연결을 해줍니다. 바로 데이터링크 계층입니다. 물리계층에는 HUB라는 장비가 존재 하는데, 이 허브는 그냥 전기적 신호를 가지고 통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받으면 멀티캐스트를 하는 놈이죠.
2계층에 사용되는 장비는 스위치라는 놈이 있습니다.
이 스위치는 MAC주소를 학습하고, 데이터를 받을 놈에게만 주기 때문에 데이터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 그래서? 왜? 통신이 안되지?
바로! 저 그림을 보세요. 1,2계층 장비 밖에 없죠?
우리가 실질적으로 통신하는데 IP를 사용하죠? IP는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장비가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 사진속 설계로는 서로다른 네트워크를 구성 할 수 없죠.
그러면 저 문제에서 서로다른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장비는 바로 라우터! 라는 놈이란걸 알 수 있져?
이참에 우리 ISO7계층을 잡고 갑시다.
"OSI 7 Layer / Network 이해하기"
7. Application Layer : 어플리케이션(응용) 계층 |
6. Presentation Layer : 프레젠테이션(표현) 계층 |
5. Session Layer : 세션 계층 |
4. Transport Layer : 트랜스포트(전송) 계층 |
3.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
2. Datalink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 |
1. Physical Layer : 피지컬(물리) 계층 |
자 위의 표가 OSI7계층인건 아시겠죠?
4. Transport Layer : 트랜스포트(전송) 계층 3.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2. Datalink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 1. Physical Layer : 피지컬(물리) 계층
자! 이 4개의 계층이 중요합니다. (기반이 되기 때문이죠..)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PDU라는 놈을 사용합니다.
"PDU(Protocol Data Unit)=전송단위" (알아둡시다.)
전송단위 |
계층 |
계층 명 |
장비 |
프로토콜 |
Segment |
L4 |
Transport |
|
TCP,UDP |
Packet |
L3 |
Network |
Router |
IP, ICMP, IGMP, ARP, RARP |
Frame |
L2 |
Datalink |
Switch |
MAC |
Signal |
L1 |
Physical |
Hub |
|
<아래 내용은 머리에 정리 해 둡시다.>
. TCP = 신뢰 (A <-> B) 예> HTTP(TCP 80), FTP(TCP 21), Telnet(TCP 23), SSH(TCP 22), DNS(TCP 53)
. UDP = 빠름 (A => B) 예> TFTP(UDP 69), DNS(UDP 53)
. IP주소(A class:1-126, B class:128-191, C class:192-223)
. ICMP = 메시지 관리(ping /tracert/traceroute)
예> ping 1.1.1.2
ICMP Request(type 8) ---------------->
ICMP Reply(type 0) <----------------
. IGMP = Multicast주소(D class:224-239) 예> 미디어, 그룹
. ARP = IP주소 -> MAC주소
. RARP = MAC주소 -> IP주소
그러니까 L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이므로 IP를 사용하고, 255.255.255.255 같은 주소를 사용합니다.
L2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이므로 MAC을 사용하고 FFFF.FFFF.FFFF 같은 주소를 사용합니다.
L3 Broadcast L2 Broadcast
255.255.255.255 - FFFF.FFFF.FFFF
<이해를 쉽게!>
스마트폰 : 010-1111-2222 (IP주소)
스마트폰 : 제조번호 (MAC주소) #ipconfig /all
"라우터 기본"
패킷 트레이서 띄워줍니다.
라우터를 하나 띄워줍니다.
"Continue with configuration dialog? [yes/no]: " 부분에서 당신에게 여쭙고 있습니다. "좀 가르쳐 드릴까요? 하고 ㅎㅎ"
하지만 저는 단호히 사절하겠습니다. NO!!
라우터의 명령어에는 위와 같은 User mode, Priviledge mode, Global Configure mode 가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 User Mode ( > )
테스트를 목적(ping이나 traceroute)으로 사용되며, 현재 상태만 확인(show)해 볼 수 있습니다.
ⓑ Priviledge Mode ( # )
유저 모드에서 enable 명령어를 통해 전환되는 모드입니다.
운영자 모드로서 라우터의 모든 명령어가 가능합니다.
(라우터의 구성확인 및 변경 가능..)
ⓒ Global Configure Mode ( (config)# )
Priviledge Mode에서 config terminal명령어를 통해 전환되는 모드 입니다.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모드이구요. 보통 config모드라고 하며 priviledge모드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 Setup Mode ( : 또는 ? )
Configuration File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나타나 Interactive한 라우터 설정이 가능합니다.
보통 라우터를 처음 동작시킬 때 라우터의 구성파일이 없기 때문에 라우터가 부팅하면서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이기도 합니다.
라우터가 구성에 관계된 질문을 하나씩 던지고 사용자는 이 질문에 대답하면서 구성파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