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를 정의하고 선언하기 (3)
ㆍ return이 지니는 두 가지 의미 중 한가지 의미만 살리기
<return의 의미>
① 함수를 빠져나가다.
② 값을 반환하다.
ㆍ 함수의 정의와 그에 따른 원형의 선언
<해결책!(Solve it~)>
ex) int Add(int num1, int num2); // 매개 변수의 이름을 포함한 선언
= int Add(int, int); // 매개 변수의 이름을 생략한 표현
* 함수의 선언에는 매개 변수의 갯수및 자료형 정보만 포함되면 되기 때문.
ㆍ 다양한 종류의 함수 정의하기!
< 하나의 함수 내에 둘 이상의 return문이 존재할 때 >
출력 결과 : 3과 4중에서 큰 수는 4이다.
7과 2중에서 큰 수는 7이다.
< 호출된 함수 내에서 또다른 함수 호출 >
* -9와 5를 입력한 상황
출력 결과 : 두 개의 정수 입력 : -9 5
-9와 5중 절댓값이 큰 정수 : -9
=> main을 포함한 모든 함수는 조건 및 상황에 관계 없이
다른 함수 호출 가능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