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etime's TimeLine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17. 9. 7. 23:33
ASCII Code (아스키 코드) C&C++
반응형

ASCII Code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ANSI에서 제정한 문자의 표현을 약속해놓은 것

 

C언어에서 문자의 표현은 ' ' (작은 따옴표), 문자열은 " " (큰 따옴표)로 사용한다.

ex) 'A' , "An apple"

 

숫자를 %d에 대입하면 숫자로 출력하고 %c에 대입하면 문자로 출력된다.

문자를 %d에 대입하면 숫자로 출력하고 %c에 대입하면 문자로 출력된다.

ex) 65 -> %d => 65, 65 -> %c => A

A -> %d => 65, A -> %c => A

* 컴파일러는 65와 A는 아스키코드로 약속되어있는 것을 알고 있다.

반응형

출력 결과 : A 65, A 65, Z 90, Z 90

 

int는 정수형 연산을 할 때 가장 빠르다. (정수형)

char는 문자를 저장하는데 적합하다. (문자형 ㆍ 정수형)

-> 문자는 정수의 형태로 표현된다. => 사실상 char형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해당 문자의 정수값이다.

아스키 코드값은 0이상 127이하이기 때문에 char형 변수로 충분히 저장이 가능하다.

 

* 0 ~ 127 => 1Byte로 표현 가능

A ~ Z => 값이 1씩 증가

대문자 ~ 소문자의 차이 => 32 (A = 65, a = 97)

 

<아스키 코드표>

 

반응형
profile

Limetime's TimeLine

@Limetime

포스팅이 좋았다면 "공감❤️" 또는 "구독👍🏻" 해주세요!